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 | 파일 |
---|---|---|---|---|---|
272 |
학생행정
4-1-14 국외파견학생규정(제정 2023.6.9.)
2023.06.13
|
전체관리자 | 2023.06.13 | 130 |
![]() |
271 |
위원회
WOW통합상담관리운영위원회에 관한 규정
2023.03.20
|
전체관리자 | 2023.03.20 | 797 |
![]() |
270 |
학칙
2-1-28 선이수프로그램학점제운영규정
2023.02.24
|
전체관리자 | 2023.02.24 | 1129 |
![]() |
269 |
일반행정(조직인사)
3-1-39 대학 구조개혁에 관한 규정(제정 2022.12.16.)
2022.12.26
|
전체관리자 | 2022.12.26 | 1337 |
![]() |
268 |
부설연구소
정원고고학연구소규정
2022.10.17
|
전체관리자 | 2022.10.17 | 2141 |
![]() |
267 |
기타
LINC3.0사업단 운영규정
2022.07.06
|
전체관리자 | 2022.07.06 | 3885 |
![]() |
266 |
학교법인
학교법인 우석학원 임원 및 교직원 행동강령
2022.07.06
|
전체관리자 | 2022.07.06 | 4367 |
![]() |
265 |
학칙
교양학사트랙운영규정
2022.06.24
|
전체관리자 | 2022.06.24 | 3873 |
![]() |
264 |
기타
인권센터규정
2022.04.15
|
전체관리자 | 2022.04.15 | 4814 |
![]() |
263 |
일반행정(조직인사)
강사 운영에 관한 시행규칙
2022.02.23
|
전체관리자 | 2022.02.23 | 6058 |
![]() |
사무처장 : 송교원
사무부처장 : 서용성
도서관장 : 강희숙교수
이름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우병훈 | 처장 | 기획처 총괄 | 063-220-3740 |
조충환 | 부처장 | 기획처 업무 총괄 | 063-220-3741 |
안효성 | 팀장 | 기획예산팀 총괄/예산 | 063-220-3746 |
채정수 | 팀원 | 기획/규정/등록금 | 063-220-3745 |
도서관장 : 강희숙교수
이름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우병훈 | 처장 | 기획처 총괄 | 063-220-3740 |
조충환 | 부처장 | 기획처 업무 총괄 | 063-220-3741 |
교무처장: 김성희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부장 | 총괄 | 063-290-1075 |
팀원 | 교원인사(전임) | 063-290-1026 |
팀원 | 강사/교원출장 | 063-290-1210 |
팀원 | 연구업적/비전임 | 063-290-1219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부장 | 총괄 | 063-290-1031 |
팀원 | 현장실습/학적/졸업 | 063-290-1032 |
팀원 | 수업/부속기관 | 063-290-1033 |
팀원 | 교육과정 | 063-290-1034 |
팀원 | 휴복학/제증명 | 063-290-1035 |
팀원 | 수강신청/성적 | 063-290-1076 |
팀원 | 휴복학/제증명 | 063-290-1724 |
팀원 | 교육과정연구/혁신사업/계절수업 | 063-290-1213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부장 | 총괄 | 063-290-1234 |
팀원 | 운영 | 063-290-1235 |
팀원 | 운영 | 063-290-1236 |
기획처장: 이미경 교수
기획부처장: 최은아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부장 | 총괄 | 063-290-1011 |
팀원 | 대내외평가/공시통계 | 063-290-1010 |
팀원 | 대학발전계획 | 063-290-1012 |
팀원 | 규정/위원회 | 063-290-1704 |
팀원 | 조직/재정사업 | 063-290-1705 |
팀원 | 예산/감사 | 063-290-1014 |
팀원 | 예산/감사 | 063-290-1124 |
입학처장: 강석표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팀장 | 총괄 | 063-290-1043 |
팀원 | 편입학/재외국민 | 063-290-1042 |
팀원 | 약학과 편입 | 063-290-1041 |
팀원 | 신입학 | 063-290-1040 |
팀원 | 신입학 | 063-290-1039 |
팀원 | 고교연계/입시홍보 | 063-290-1202 |
팀원 | 고교연계/입시홍보 | 063-290-1201 |
팀원 | 입시홍보 | 063-290-1037 |
팀원 | 입시홍보 | 063-290-1038 |
학생취업처장: 이승미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팀장 | 총괄 | 063-290-1047 |
팀원 | 후생복지/사회봉사 | 063-290-1048 |
팀원 | 교내봉사/국가근로 | 063-290-1050 |
팀원 | 총학/학생회//통학버스 | 063-290-1051 |
팀원 | 국가/교외장학 | 063-290-1052 |
팀원 | 대출/교내장학 | 063-290-1053 |
정부(기관)·대외기관 위탁교육 및 대학연계사업 운영에 관한 업무
우영관,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관리에 관한 업무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센터장 | 총괄 | 063-290-1721 |
팀원 | 취업통계 | 063-290-1103 |
팀원 | 취업지원/상담 | 063-290-1101 |
팀원 | 취업지원/상담 | 063-290-1104 |
팀원 | 취업지원/상담 | 063-290-1102 |
팀원 | 지산맞춤사업 | 063-290-1723 |
팀원 | 지산맞춤사업 | 063-290-1949 |
팀원 | 지산맞춤사업 | 063-290-1948 |
팀원 | 대학일자리사업 | 063-290-1951 |
팀원 | 대학일자리사업 | 063-290-1952 |
팀원 | 대학일자리사업 | 063-290-1953 |
팀원 | 대학일자리사업 | 063-290-1954 |
학생들이 자아를 성찰하고 미래를 설계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보람있는 대학생활을 해나갈 수 있도록 연구와 상담을 통해 지원하는 상담기관입니다. 우석인 누구나 자기이해를 위한 심리검사와 자기발견을 위한 상담, 인생을 설계하고 사회적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다양한 집단상담, 집단훈련프로그램, Workshop, 교육프로그램, 등에 참여 할 수 있습니다. 학생상담센터에 찾아오는 학생들은 즐거운 대학생활과 자기변화 자기성장에 대한 열망이 많은 적극적인 학생들입니다. 학생상담센터는 더 나은 삶을 선택하려는 용기있는 사람들과 늘 함께 합니다.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센터장 | 총괄 | 063-290-1058 |
팀원 | 상담/운영 | 063-290-1144 |
팀원 | 상담/운영 | 063-290-1138 |
팀원 | 상담/운영 | 063-290-1059 |
팀원 | 상담/운영 | 063-290-1146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센터장 | 총괄 | 063-290-1261 |
팀원 | 상담관리 | 063-290-1261 |
팀원 | 상담관리 | 063-290-1257 |
팀원 | 상담관리 | 063-290-1258 |
사무처장: 송교원
사무부처장: 서용성
직위 | 담당 | 사무실 |
---|---|---|
팀장 | 총괄 | 063-290-1062 |
팀원 | 직원교육/보안 | 063-290-1065 |
팀원 | 구매/문서 | 063-290-1064 |
팀원 | 계약/공간조정 | 063-290-1063 |
팀원 | 직원인사/근태/노무 | 063-290-1027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팀장 | 총괄 | 063-290-1071 |
팀원 | 결산 | 063-290-1072 |
팀원 | 등록금 | 063-290-1073 |
팀원 | 급여 | 063-290-1029 |
팀원 | 지출 | 063-290-1665 |
팀원 | 법인카드 | 063-290-1666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팀장 | 총괄 | 063-290-1066 |
팀원 | 건축 | 063-290-1661 |
팀원 | 건축/잡철 | 063-290-1068 |
팀원 | 전기/소방/강의실/기자재수리 | 063-290-1153 |
팀원 | 전기/통신/승강기/아트홀 | 063-290-1067 |
팀원 | 설비 | 063-290-1276 |
팀원 | 설비/냉난방기/환경 | 063-290-1275 |
팀원 | 재산관리/검수/환경미화 | 063-290-1141 |
팀원 | 비품 | 063-290-1069 |
팀원 | 연구실 안전 | 063-290-1274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예비군 대대장 | 예비군/민방위 업무 | 063-290-1080 |
운영 | 예비군/민방위 업무 지원 | 063-290-1081 |
대학원장: 우용득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팀장 | 총괄 | 063-290-1137 |
팀원 | 입시/장학 | 063-290-1077 |
팀원 | 일반대학원 | 063-290-1218 |
팀원 | 특수대학원 | 063-290-1140 |
팀원 | 사업관리 및 인증평가 | 063-290-1139 |
팀원 | 외국인학생관리 | 063-290-1217 |
혁신사업단장: 이미경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단장 | 사업단 총괄 | 063-290-1866 |
조교수 | 연구기획 | 063-290-1961 |
조교수 | 연구기획 | 063-290-1862 |
조교수 | 연구기획 | 063-290-1863 |
조교수 | 연구기획 | 063-290-1865 |
부장 | 혁신지원 업무 총괄 | 063-290-1868 |
연구원 | 사업관리 | 063-290-1867 |
담당 | 사업관리 | 063-290-1869 |
담당 | 사업관리 | 063-290-1871 |
관장 : 이진선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팀원 | 연속간행물 | 063-290-1091 |
팀원 | 정리 | 063-290-1086 |
팀원 | 수서 | 063-290-1084 |
팀원 | 대출/반납 | 063-290-1093 |
팀원 | 참고자료 | 063-290-1090 |
팀원 | 일반자료 I | 063-290-1089 |
팀원 | 일반자료 Ⅱ | 063-290-1094 |
팀원 | 학습도서관 | 063-290-1095 |
센터장 : 류남일
직위 | 담당 | 사무실 |
---|---|---|
부장 | 총괄 | 063-290-1020 |
팀원 | 수업,수강,성적 | 063-290-1134 |
팀원 | 일반행정개발업무 | 063-290-1022 |
팀원 | 등록,장학,교직 | 063-290-1021 |
팀원 | 네트워크,보안 | 063-290-1133 |
팀원 | 학적,자산, 생활관 | 063-290-1023 |
팀원 | 네트워크, 정보보안 | 063-290-1133 |
팀원 | 홈페이지,소프트웨어 | 063-290-1135 |
팀원 | 전산실습실 | 063-290-1654 |
관장 : 송교원
특성화 시설 확충과 관련, 우석대학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지방대학 육성사업 재정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2004년 8월 전주한방문화센터를 건립하였다. 전주한방문화센터 건립에 따른 총사업비 33억원은 17억원의 국비지원과 관학 협력사업의 일환으로서 전북도비 4억원, 전주시비 8억원, 그리고 우석대학교가 4 억원을 분담하여 충당했으며 전주시 한옥지구에 450평 넓이의 부지를 마련해 전 통한옥목조건물 2개동, 연건평 120평 규모로 단아하고 웅장하게 건축되었다. 대들보를 제외한 기둥 및 도리 등의 주요부재는 약 150년 이상 된 우리나라 육 송(陸松)을 사용하였으며, 못이나 꺽쇠 등을 이용하지 않은 ‘전통이음맞춤기법’으 로 건축됐다. 아울러 한방이라고 하는 이미지에 어울리도록 당초(唐草)문양의 바 탕을 고르고 그 위에 우석대학교 로고를 양각한 망와(望瓦)를 주문제작하여 기와 지붕의 돌출부를 상징화하였다. 한방문화관에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한방의료에 대한 자료의 전시 및 사상체질 에 대한 감별과 진단, 한방건강나이 측정과 족탕 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한방문화관의 특징인 동의(東醫)사상관에서는 사상체질에 맞은 전통차를 개발하여, 휴식과 함께 체질에 맞는 차의 맛과 그 효과를 느껴볼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두었다. 한방문화관은 전주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한옥특구 지역에 위치해 있어, 경기전 을 비롯한 전주공예품전시관, 전통술박물관, 한옥생활체험관 등과 연계성을 가지고 있고, 전통문화체험에 대한 시너지 효과는 물론 우석대학교의 특성화 사업인 한방의약 및 한방보건 분야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센터장 : 은석민교수
박물관은 대학 부속기관의 하나로서 1983년 4월 발족하였다. 발족 이후 본 박물 관으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하여 많은 유물들을 수집하여 왔으며, 특히 처음 설립 당시에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정신으로 학교재정의 지원없이 교수, 직원, 학생들의 자료 기증을 기반으로 운영되어 왔다. 현재 본 박물관의 위치는 본관 21층으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고 있다. 특히 학교 축제기간 중에는 그동안 모아온 전시품 이외에도 흔히 접할 수 없는 중요한 사적이나 유물 사료들을 사진과 함께 진열, 전시하여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지금까지 본 박물관에서는 도자기·토기·금속기·문적·농기구 등 877점의 자료 들을 수집, 수장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우리 지방에서 수집된 각종 민속품과 출 토품들이다. 특히 본 박물관은 우리 지역과 향토의 특성을 살린 전문적인 박물관으로 성장하기 위해 우리 향토의 특색에 걸 맞는 농기구나 생활기물 등 민속자료 를 갖추고 있다. 즉, 우리 고장인 전북지방에서 출토 또는 수집되는 각종 역사적인 유물을 비롯해 급속한 사회생활과 습관의 변화로 인해 사라져 가는 우리 조상들 의 지혜와 얼이 담겨있는 각종 구시대의 민속학적 유물들, 그리고 우리나라의 전 통적인 사회의 제도와 생활 상을 찾아 볼 수 있는 각종 문서류, 즉 재산매매문서· 노비문서·재산에 관한 소송문서·가계문서·호적문서 등을 갖추고 있다. 이같이 지역사회의 특색이 반영된 농기구나 생활기물 문서 등 수집된 자료들을 연구·분석하여 향토연구와 발전에 기여하는 한편 향토문화를 널리 인식시키고 우 리의 자부심과 긍지를 증대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민속자료 및 역사유물·미술 공예품·서화·인류문화와 관련된 자료 등을 진 열 전시하고 고고미술 및 유형 무형의 민족혼이 담긴 민속학 분야에 속하는 자료 의 수집, 보관, 진열, 고증평가, 촬영, 수리, 복원 및 조사연구를 분장하여 역사의식 과 민족의 혼을 함양 정립시키는 데도 기여하고있다. 그리고 앞으로는 성인들의 빛나는 얼이 담긴 귀중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시로 각 지방의 유적 유물에 대한 답사와 발굴 등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진열하여 학생과 교수 그리고 일반인들이 관람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역사의식을 고 취시키는 한편 연구활동도 돕고있다. 그리고 고고학·민속학의 중요한 사항에 대 한 강연회 등을 개최하여 선인들의 유품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 높이고 있다.
신문방송사 내에는 각 분야에 따라 대학신문편집국, 방송편성국, 영자신문편집 국, 중국어신문편집국을 운영하고 있다. 학교설립과 함께 ‘우석대학보’를 창간하 고 이듬해에 ‘우석대방송사(WBS)’을 개국하여 오다가 99년 4월에 신문사와 방송 사를 통합, 신문방송사로 운영되고 있다. 이후, 시대 변화에 맞춰 영자신문이 창간되었으며, 2008년에 전국대학 최초로 중국어신문을 창간, 매거진 형태로 발간 되고 있다. 신문방송사는 학내·외의 홍보활동과 학교의 이미지제고를 위해 교내의 미디어를 일원화하고, 신문과 방송이 갖고 있는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을 해소하고, 상호 보완관계를 유지하여 학내·외 곳곳에 ‘우석의 목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학원 구성원의 여론을 다양한 창구로 수렴해 본연의 사업을 진행함으로서 구성원의 정서 함양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기구 및 조직도
우석대의료원은 우석대부속 전주한방병원과 전주우석병원, 그리고 우석대부속 김 제한방병원과 김제우석병원 등 네 개의 병원과 동서협진연구소로 구성되어 있다. 본 의료원은 1998년 8월 1일부터 우석대의료원 직제규정이 시행됨으로써 공식 출범하게 되었다. 실력·신념·봉사의 개교 이념에 맞추어 설립된 본 우석대의료원은 대내적으로는 미래의 우수 의료인력을 양성하고 대외적으로는 지역주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한·양방의 이상적인 조화를 통하여 제 3의학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부장 : 조현철교수
체육부는 운영목적에 따라 체육특기자 관리, 선수 훈련계획 수립 및 관리, 우수 선수 발굴 및 육성, 교내외 체육행사 계획수립 및 시행, 경기 평가 및 결과 보고, 경기지도자 관리 및 지원, 체육시설물 관리 및 운영, 기타 체육에 관련된 사항을 담당 하고 있다. 또한 체육부의 합리적인 운영과 진흥을 위해 체육진흥관리위원회를 두고 있다. 체육진흥관리위원회는 우리대학의 체육정책 수립에 관한 사항, 체육에 관한 규정 또는 내규의 제정 및 개폐에 관한 사항, 체육특기종목 선정 및 인원 배정에 관한 사항, 체육특기자로의 전환 심사에 관한 사항, 종목별 감독의 선임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하고 있다.체육부에 소속된 우리 운동부는 2015년 현재 축구, 태권도, 배구, 양궁, 사격을 육성종목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펜싱을 비육성종목으로 두고 있다. 체육부 소속의 선수는 매년 전국대회 및 종목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축구부는 2014년 U-리그 호남권 무패 우승을 이루고 있으며, 배구부의 경우 전국 추계 대학부 대회 7연패를 달성하였다. 태권도부는 매년 각 종목별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국대가표 선발(남.개인1위/여.개인 1위)등 의 육성 종목을 위주로 해서 매 년 전국대회 및 종목별 선수권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달성하였으며, 2014년 제95회 전국체전에서는 사격(단체 2위), 펜싱(단체전 3위, 개인 2위)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양궁은 [2012년 제30회 런던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 금메달 최현주 선수(체육학과)를 육성하여 국위선양에도 기여하였다.
종합실습장은 발전하는 학문의 추세에 맞추어 강의실에서 배운 이론과 현장실습을 통하여 실기를 익히도록 하며 이에 관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1992년 3월에 설립됐다. 실습장에는 약초원, 식품가공공장, 농장 및 목장을 두고 있다. 약초원에는 약초의 재배 품질관리 및 생약제조에 관한 사업을 관장 하고 있으며, 식품가공 공장 에서는 농산물, 수산물 및 축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의 가공처리에 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농장에서는 도작, 과수 및 시설원예에 관한 사업과 함께 목장에서는 낙농을 위주로 한 양돈, 양계, 사슴양육, 양봉, 양토, 초지 및 사료작물에 대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출판부는 2007년 9월 1일 설립하였으며, 2007년 10월 18일 출판등록(등록번호 완주 군 2007-1호 )을 하였다 . 또한 2008년 1월 9일 국제도서표준번호(ISBN/978-89-960640) 신청 및 승인을 받았다. 출판부는 대학의 연구 성과를 출판, 보급함으로써 교수 역량 강화와 학문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출판부는 대학의 연구 활동과 교수 역량을 반영하는 기구라 할 수 있다. 출판부는 교양교재 및 우수도서의 개발과 출판, 개인 및 단체가 소장한 희귀본과 귀중본, 정기간행물 및 논문집 등을 일반 및 학생에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학의 학문 적 역량과 비례하여 발전을 담보할 수밖에 없는 출판부의 활동은 대외적인 대학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대학의 실질적 성취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2007년 10월 15 일 출판부를 신설하였으며, 향후 학술·문화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대내외적 여건을 확충할 예정이다. 또한 본 대학의 실력, 신념, 봉사의 교육이념 실현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세토 유조 아사히맥주 전 회장 자서전 『역경은 두렵지 않다』와 김태중 가나모토 컴퍼니 명예회장 시집 『내 고향은 호남땅』, 라종일 총장의 『비빔밥 이야기』(4개 국 어) 등을 출간했다.
원장 : 김윤태교수
우석대학교 평생교육원은 대학의 사회봉사와 평생교육정신에 입각하여 지역 주민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평생교육의 저변확대 및 정보제공을 통해 건전한 국민으로서의 자질 향상에 목적을 두고 1994년 12월 교육부로부터 신고수리를 받아 1995년 1학기부터 개원하여 지금까지 약 6,00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하고 있다. 1999년 여론조사에서 도내 최우수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50여개 과정에 걸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역사회에 또 다른 우석 대학교를 실현하고 있다. 우석대학교와 지역사회에 연결하는 중요한 징검다리 역 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우리대학의 이미지 제고에 큰 힘이 되고 있다.
또 한 1999년 대학종합평가에서 평생교육과 관련된 사회봉사부문 최우수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우석대학교 평생교육원이 지니고 있는 큰 특징은 입지적인 캠퍼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가캠퍼스, 금암캠퍼스에 따라 특성화된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전주시 완산구 다가공원 위에 위치한 다가캠퍼스에서는 외국어 과정(영어회화) 과 미술교육 과정(산수화, 유화, 수채화, 누드크로키, 생활도예 등등)으로 특성화 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미 타 대학의 평생교육원 보다 한 수준 높은 교육프로 그램을 개설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미술과정의 경우 각종 공모전에서 특선과 입선 등 많은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영어회화는 질 높은 프로그램으로 정평이 나 있다.
이밖에도 교양과정의 문예창작과정은 일반인의 글쓰기의 장을 넓힌다는 점에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각종 공모전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1999년부터 전주시 금암동 전북일보 빌딩에 위치한 금암캠퍼스에서는 건강스포츠(댄스스포츠, 차밍디스코, 재즈댄스, 훌라댄스 등) 전문교육과정과 지도자 전문교육과정(스포츠마사지지도자, 발건강관리지도자, 유아레크레이션지도자, 아동미술지도자, 동화구연지도자 등) 그리고 교양교육과정(풍수지리, 역학교실, 사진교실 등등)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특별교육과정으로 소매유통전문가과정, 독학학위 취득시험면제과정, 중소기업청지원 창업강좌, 공인중개사 자격증 취득과정, 경찰직 시험대비과정 등을 개설해 특성화된 교육기관으로써 인지도를 높히고 있다.
또한, 2001년에는 노동부로부터 국민기초생활수급대상자들의 근로의욕을 고취시키고 자활의지를 복돋기 위한 정보화기초교육과정과 근로의욕증진교육기관 으로 선정되었고, 정보통신부로부터 국민의 정보화능력을 향상시키는 e-Korean 컴퓨터 중급과정 교육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02년도부터 전주 금암캠퍼스에서 운영할 우석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전환교육센터는 1998년부터 정보통신부 지원으로 고학력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정보통신 전문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다. 현장 실무진으로 구성된 우수한 강사진, 수준 높은 교육과정, 높은 취업률 때문에 교육생을 모집할 때마다 4대1이 넘는 높은 지원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IT분야의 정보통신 전문인력양성을 목적으로 개설된 이 과정을 수료한 교육생들은 각 대기업 및 중견기업, 벤처 창업 등 정보통신분야의 주역으로써 활동하고 있다.
앞으로 우석대학교의 평생교육원은 지역사회에 대한 평생교육의 장으로 위상을 삼고 우석대학교가 제공하는 비 학위 교육프로그램을 전담하는 내실있는 교육원으로 발전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대부분의 과정을 재학생들도 수강할 수 있으며 일년 내내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홈페이지 (www.woosukedu.com)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향후 사이버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한 단계 도약하는 교육원으로 발전할 계획이며 외국 대학의 평생교육원 과도 프로그램제휴를 통해 국제화를 시도할 예정이다.
교육연수원은 1998년 7월 3일자로 교육부의 인가를 받아 우석대학교 부속 중등 교육연수원으로 설립되었다. 그 동안 교원연수원은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설치 운영되었다.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에 중등교육연수원을, 교육대학에 초등교육연수 원을 설치하여 현직 교사들의 자격연수와 일반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당초에는 부전공 자격연수를 위한 기관으로 신청을 하였으나 연수원의 기능을 고려하여 자격연수, 일반연수, 직무연수를 수행하도록 인가하였다. 따라서 현재 우 석대학교 부설 중등교원연수원으로 인가되어 1급, 2급 정교사, 교감, 교장, 부전 공 등 자격연수를 개설할 수 있으며 국어, 영어, 수학 등 각 교과 영역의 일반연수와 교육행정, 상담, 청소년 지도 등 교육학영역의 일반연수를 수행할 수 있고, 교무 부, 연구부, 학생부 등 교원의 직무에 대한 연수도 할 수 있다. 자격연수는 시.도교육청의 요청에 의해 개설되며 일반연수는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교원들의 신청을 받아 적정 인원이 되면 개설된다. 직무연수는 학교의 요청에 의해 개설할 수 있다.
보육교사교육원은 대학부속기관으로서 1998년 3월에 개원하였다. 개원이후 본 어린이집은 빈약하고 불리한 여건에서도 대학부속 어린이집으로서 면모를 갖추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 오고 있다. 현재 본 어린이집 위치는 과학관 옆 2층 건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다섯 개의 교실과 원장실, 교사실, 교재교구 및 자료실, 조리실, 볼풀장, 야외 인조잔디장, 200 여평의 실외놀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은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 발달을 통해 행복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유아의 전인교육을 목적으로 교육내용으로 교육부의 건강, 사회, 표현, 언어 탐구,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있으며, 유아의 자율성과 개성을 존중하는 아동중심, 흥미중심의 개방식 프로그램을 활용, 어린이가 처한 생활 상 황 속에서 학습이 이루어고 있다. 또한 학습 공간이 특정한 한 교실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다. 남·여 혼합연령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은 핵 가족시대에 결핍된 어린이의 사회적 역할학습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발달장애아치료교육원 1995년 5월 삼례 캠퍼스 운동장의 서편 스탠드 1층에서 특수교육연구소 부설 장애아 조기교육원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다. 1998년 4 월부터 중화산동구 한방병원자리로 이전하여 우석대학교 부속 발달장애아치료 교육센터로 새로운 자리매김을 시작하였고 또한 6월 18일에는 총장을 비롯한 각 부처장, 전북도 사회복지기관 관계자를 초청하여 개원식을 하였다 우리 교육원은 전북의 장애아동의 조기 치료교육 및 성인을 위한 재활치료 교육의 요람역할을 함으로써 우석대학교의 지역사회 봉사정신을 실천하는 작은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교육 대상으로 정신지체아동, 정서장애 및 자폐아동, 청각장애아동, 시각장애 아동, 지체부자유아동(뇌성마비포함), 언어발달지체아동, 언어장애아동(발음문 제, 말더듬, 실어증, 구개파열 등)을 대상으로 0세에서 학령기까지 개별화된 조기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다.
관장 : 박재우
우영관은 2002년 개관하여 우리대학의 취업산실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매년 각종 국가고시에서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우영관은 체육관 뒷 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내 고시원으로서 우석인의 사회 진출과 인재양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각종 지원을 펼치고 있다. 사회진출의 목표에 따라 3개 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반별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각종 고시 및 공무원, 임용고시 전반에 걸쳐 자신이 목표로 하고 있는 시험에 합격을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반은 사법고시, 법원-검찰직 법무사, 경찰간부 및 일반경찰, 2반에는 행정고시 및 7·9급 공무원, 국가 공인 자격 증, 3반은 임용고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학습에 필요한 각종 편의시설 및 학습 지원을 하고 있으며 현재 50여명의 학우들이 자발적인 학습동기 부여와 목표 성취를 북돋우고 있다. 성적 우수자에게는 관리비 전액면제와 반액면제 혜택을 제공하고 동영상 및 학원 수강 시 최대 10만원까지 학습 지원금 지급, 각종 수험 관련 서적과 테이프 대여도 가능하다. 이밖에 지도교수의 효율적인 시험지도와 함께 개인 지정 좌석, 스터 디실, 동영상 강의실 , 전산실 등이 24시간 사용 가능하다.
센터장 : 이홍기교수
공학교육혁신센터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교육성과의 평가에 기반을 둔 지속적인 개선을 통하여 공학교육의 내실을 기할 목적으로 2008년 8월에 설립 되었으며 센터의 주요 업무는 공학교육의 혁신 및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 수여 하는 공학교육인증의 획득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9월에 공학교육인증 추진위 원회(기계자동차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제약공학과 , 토목환경공학과 참여)가 구성되었으며 공학교육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전공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2008년 입학생부터 공학교육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센터장 : 임진선교수
인문사회연구소는 1998년 6월부터 인문학계와 사회학계에 속해있던 6개 연구소들이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에 관한 연구와 실제를 통하여 인류문화 및 한국문화의 이해와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통합 설립되었다. 본 연구소는 각각의 특성을 살려 6개 연구 분과로 나누어 연구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술세미나 조사분석, 강연회,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연구 교류 등을 주요사업으 로 하고 있다. 본 연구소의 6개 분과는 ① 인문과학연구분과 ② 경영연구분과 ③ 유통·통상분과 ④ 사회사상분과 ⑤ 지역언론조사분과 ⑥ 한국정치연구분과로 각 분과장을 두고 있으며, 전임연구원과 연구위원, 객원연구원을 두어 다양한 연구활동을 펼치고 있다. 인문사회과학연구소는 체코의 챨스대학교 부설 이론학연구소(Center for Theoretical Study : CTS)와 교류협약을 체결하고, 지역과 더불어 국제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석대학교 부설 아동복지연구소는 아동복지를 위해 아동에 관한 교육, 보호, 사회적 제반 복지문제에 관해서 총체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연구를 목적으로 1987년 3월 1일 설립되었다. 우석대학교 부설 아동복지연구소는 분과별로 학술연구분과, 유아교육프로그 램 개발분과, 유아교육정보분과, 복지연구분과, 홍보분과로 구성되었다. 핵심사업으로는 첫째, 유아교육 프로그램개발과 교사교육프로그램 연구.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재교구 개발과 현장교육 자원시스템 개발. 셋째, 부모·교사 교육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넷째, 아동복지에 관한 종합적인 종단적·횡단적 연구. 다섯째, 유아교육 및 부모교육 사회복지 관련연구 학술세미나. 여섯째, 국제학술 교류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아동복지연구소에서는 추진사업내용으로서 첫째, 산학협동기관과의 결연사업을 통한 국내관련 산학연계프로그램 개발. 둘째, 미국·일본·중국·뉴질랜드 등과 학술 교류확대. 셋째, 국제 산학협력연구 프로젝트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기초과학연구소는 기초 및 자연과학 연구소로 1998년 6월 1일자로 발족 되었다. 기초 및 자연과학 연구소는 기초 및 자연과학분야를 활성화 시키고 연구에 관한 정보교환을 통하여 원활 한 연구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과학분야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소의 사업내용은 기초 및 자연과학에 관한 학술적 연구, 연구 발표 및 강연회 개최, 대내·외 학술 교류 및 해외 연수, 연구비 확보 및 보조, 위탁된 과제의 수행, 기타 연구소의 목적과 관련된 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소의 조직은 소장, 각 분과별 분과장, 연구위원, 간사, 연구원으로 구성 되고 모든 업무는 소장, 분과위원장 및 간사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심의 의결 한다. 이상의 사업목적 달성과 교수들의 연구활동을 지원하고자 연구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사회복지연구소는 ‘자료의 조사와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 전문적인 이론과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토대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 로써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2004년 3월 설립되었다. 본 연구소는 ① 조사활동 : 외부의뢰 조사(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의 여론 조사 및 설문조사), 연구소 자체조사 및 연구 ② 통계자문 : 자료입력, 자료분석, 논문통계분석, 통계상담, 설문지 작성 및 표본설계 ③ 실무교육 및 특강 : 대학 및 대학원생들에게 실제 조사에 참여하게 하여 훈련을 받을 수 있는 기회제공, 실습을 위주로 한 통계프로그램(SPSS, SAS 등)의 사용법, 자료의 처리 및 분석, 보고서 작성법 등 교육 ④ 통계적 품질관리를 통한 기업체와의 산학협동 ⑤ 학술 연구지 발간 및 연구발표회 개최 등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2005년부터 매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정보공개 운영실태 평가를 위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매 학기 강의평가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또한 전북일보 등 언론기관과 함께 전라북도지사 등 지자체 선거의 각종 여론조 사와 함께 중앙정부, 지방정부와 손을 잡고 각종 정책 및 현안 사업에 대한 의견 수렴 및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새만금연구소는 이론적 연구와 실무적 조사 연구를 통하여 새만금 지역의 발전과 전북지역의 관광 및 레저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2006년 5월에 설립되었다. 연구소의 주요 사업으로는 새만금 관광과 관련한 학술 연구지 및 도서의 발간, 학술발표회, 세미나 개최와 새만금 지역의 관광개발, 산업개발, 환경 등과 관련된 용역 사업, 새만금 지역과 관련된 신규사업 계획의 타당성 조사 및 분석의 용역 사업, 관광·레저와 관련된 신규사업 계획의 타당성 조사 및 분석의 용역 사업, 관광· 레저 분야에 대한 경영진단 및 지도 사업, 관광·레저 분야에 대한 원가 계산, 정부 계약 금액 조정, 개발비용 산정, 공공요금 산정 등 용역 사업, 산학관 협동을 위한 강좌 개설 및 교육 사업, 국내외 타 연구 기관과의 연구 교환 사업 등이다. 이러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연구소 내에 호텔관광 분과, 역사 문화관광 분과, 국제레저컨벤션 분과, 관광상품개발 분과, 관광단지개발 분과, 관광단지환경개발 분과 등으로 나눠 운영하고 있다.
공학연구소는 우석대학교 공학 분야의 종합연구소로서, 공학 기술의 이론 및 응용에 관한 연구 및 관련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우석대학교 공과대학이 보유한 우수한 연구인력과 시설을 교육 활동뿐만 아니라 첨단, 공공, 융합, 창의 분야의 연구 활동에 활용함으로써 국가의 산업발전과 기술 진보에 기여하며 공학 분야를 활성화시키고 연구에 관한 정보 교환을 통하여 연구 수행 함으로써 대학 발전과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본 연구소의 기본 목적이다. 먼저 공학연구소는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관리 조직이며, 산업기술의 개발 및 미래지향적 기술, 기초 과학적 기술, 다학제적 기술, 공공기반적 기술 등의 개발에 대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연구과제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관리하는 일이 본 연구소의 역할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사회는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주근로자, 결혼이민자, 새터민 등이 증가함에 따라 부당한 대우, 인권침해, 문화적 격차, 경제 문제 등의 문제 야기로 그들에 대한 보호정책과 사회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발맞추어 다문화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교류를 확장시킴으로써 우리 사회의 다문화 구성원들의 사회적 통합력을 높여가기 위하여 2008년 11월 우석대학교 다문화센터가 개설되었다. 우석대 다문화센터는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 사업, 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다문화교육관련 포럼과 교사연수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앞으로 다문화 사회를 열어가는 기틀을 마련 할 수 있도록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과정’, ‘사회통 합교육’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2008년 법부무 주관으로 유학생 유치정책 릴레이 포럼을 개최한 이후 한국유 럽학회 공동 학술대회를 ‘유럽연합과 다문화주의’ 주제로 치루었다. 또한 다문화 사회 2급 전문가 양성과정과 사회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설립이후, 유럽연합과 다문화주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한국사회의 이해, 이민법령, 2009년도 사회통합 정책방향 등을 간행하였다. 센터장은 이승미교수(실버복지학과)가 맡고 있다.
지능, 인식에 대한 다학문적인 학제적 연구 분야로 전문적인 이론과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토대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친화되고 있는 사회 전반을 이해하고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성장 기반 마련 등을 연구하는 고령친화 사업, 현대인의 야간작업환경 및 잦은 스트레스 등 수면장애의 원인을 이해하고 수면의 질을 향상, 수면장애 관련된 모든 분야의 기술 연구를 하는 수면클리닉, 대상자의 지능 및 인식 능력을 관찰 및 진단 하여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우석대학교 태권도학과를 기반으로 하는 태권도 연구소는 태권도의 기술과 이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지, 덕,체를 겸비한 태권도인을 육성함으로써 사회 선도적 역할에 관한 연구 및 태권도에 관한 이론 및 실기에 관한 폭 넓은 연구 및 보급을 통해 태권도와 공연 그리고 이에 파생되는 사회 전반적인 현상에 관한 연구수행을 통해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고자 한다.
고(故)김근태 석좌교수의 뜻을 계승하여 민주주의 국가경영 철학을 연구하고 정책을 제시하기 위해 설치된 김근태 연구소는 고(故)김근태 의장의 개인사와 대한민국 현대사의 민주주의와 인권, 통일의 매개 속에서 역사의 지평을 여는 여정으로 이를 사상과 정치, 경제, 문화, 사회등 학술적으로 연구 조명하여 역사의 소산으로 삼고자 하며, 한국 민주주의 전반에 대한 학술연구, 김근태 관련 학술 연구 및 추모행사를 통해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와 함께 심포지엄, 세미나, 편찬사업 등을 진행하고자 한다.
스마트융합기술연구소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창출되는 ‘디지털 기반 일자리’의 수요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수자, 학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산업체 및 전문가그룹과 폭넓게 소통하여 우석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진로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및 운영을 목표로 하고자 한다.
국제교류원 원장: 김동주 교수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센터장 | 업무총괄 | 063-290-1246 |
계장 | 교류협정 | 063-290-1078 |
담당 | 교류협정 | 063-290-1079 |
담당 | 교류협정 | 063-290-1278 |
담당 | 학생관리 | 063-290-1279 |
담당 | 학생관리 | 063-290-1242 |
담당 | 학생관리 | 063-290-1241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원장 | 총괄 | 063-290-1408 |
부원장 | 사업 기획 | 063-274-7811 |
담당 | 프로그램 운영 | 063-274-7811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센터장 | 총괄 | 063-290-1326 |
담당 | 운영/관리 | 063-290-1121 |
직위 | 담당 | 사무실 |
---|---|---|
센터장 | 업무총괄 | 063-290-1260 |
담당 | 교류협력/행정 | 063-290-1800 |
담당 | 교육행정 | 063-290-1298 |
담당 | 학생관리 | 063-290-1283 |
이름 | 직위 | 담당과목 | 연구실 | 이메일 |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이름 | 직위 | 담당과목 | 연구실 | 이메일 |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이름 | 직위 | 담당과목 | 연구실 | 이메일 |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이름 | 직위 | 담당과목 | 연구실 | 이메일 |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
김종화 | 교수 | 의학용어, 공중보건, 연구방법론, 보건통계 | 0063-290-1439 | jhkim@woosuk.ac.kr |